Monday, November 10, 2025

"소나 돼지를 키우는 자는 닭을 사육하지 말라"는 문구는 《논어》(論語) 《헌문(憲問)》편에 나오는 맹헌자(孟獻子)의 말로, "마차를 타게 된 대부(大夫)는 닭과 돼지를 살피는 데 애쓰지 말고, 큰일(가축의 큰 사육)을 하는 대부 집안에서는 소와 양을 기르지 않으며, 백승대부(百乘大夫)의 집안에서는 세금을 긁어모으는 신하를 두지 않는다"는 고전 문구의 일부입니다. 원문: "맹헌자는 이르기를, '마차를 타는 대부는 닭과 돼지를 살피지 말고, 큰일에 얼음을 쓰는 대부 집안에서는 소와 양을 기르지 않으며, 백승대부 집안에서는 세금을 긁어모으는 신하를 기르지 않는다'고 하였다."

Wednesday, November 5, 2025

와즉영(窪卽盈) 낮은 곳에 물이 고인다는 뜻으로, 삼라만상 모든 이치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기 마련이며, 물은 낮은 곳인 웅덩이에 고이게 된다. 스스로를 낮추어야 덕이 고인다는 의미의 말이다. 窪 : 웅덩이 와(穴/9) 卽 : 곧 즉(卩/7) 盈 : 찰영(皿/4) 자전육혜(我全六慧)는 나를 보전하는 6가지 지혜를 말한다. 살아가면서 나를 온전하게 보전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무엇이든 나를 보전하여야 이룰 수 있다. 내가 사라진 이후는 이룰 수 있는 것은 없다. 사람 중에는 무리하여 자신을 온전하게 보전하지 못하고 곤혹을 겪다가 죽기도 한다. 예로부터 지혜로운 사람은 자신을 잘 보전하는 사람이라 하였다. 그런데 그 자신을 잘 보전한다는 것은 말은 쉬워도 쉬운 일이 아니다. 그것은 이기주의자가 되라는 것이 아니며 인생을 지혜롭게 천명을 다하여 살라는 뜻이다. 노자(老子)가 도덕경에서 나를 보전(保全)하는 6가지 지혜를 말하였다. 그것은 곡즉전(曲卽全), 왕즉직(枉卽直), 와즉영(窪卽盈), 폐즉신(敝卽新), 소즉득(少卽得), 다즉혹(多卽惑)이다. 노자 도덕경 제22장에 나오는 말이다. '낮은 곳에 물이 고인다'는 뜻이다. 삼라만상 모든 이치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기 마련이며, 물은 낮은 곳인 웅덩이에 고이게 된다. 사람의 덕(德)은 스스로를 낮출 때 쌓아지게 되며, 사람들의 마음도 그곳에 모이게 되고 사람들의 마음이 모이면 사람들이 모이게 된다. 따라서 사람을 얻으려면 스스로를 낮출 줄 알아야 한다. 자기를 낮추고 겸허하고 유연하게 살라는 것이다. 이것 또한 자연의 이치이며 인간사의 덕(德)이다.

Monday, November 3, 2025

"아름답기 구슬처럼 되려고 하지 말고, 볼품없는 돌과 같이 되어라." ( 노담의 덕경 39장에서 ) -- 아름다움을 구하면, 아름다움을 얻지 못하고, 그것을 구하지 않으면, 그것이 곧 아름다움이다. 모름지기 구슬과 같이 아름답기를 원하지 말고, 그저 볼품없는 돌처럼 처신하여라. "I say to you that out of these stones God is able to raise up children." (Mat 3:9) / "if they remain silent, the very stones will cry out." ( Lk 19:40 ) -Jesus / "If you make me an altar of stone, you shall not build it of hewn stones, for if you wield your tool on it you profane it." ( Exodus 20:25 ) Do not desire to be beautiful beads, rather be like stones. --- Tao Te Ching ( Calligraphy by Steven G. Lee )

Sunday, November 2, 2025

The text is traditional Chinese calligraphy, and because it’s engraved on a curved lacquer plate with artistic strokes, a few characters are difficult to read precisely. However, I can give you: ✅ An approximate transcription ✅ A meaning summary / translation ✅ Notes on style & origin 🈶 Approximate Chinese Transcription (Some characters may vary slightly due to calligraphic style) 何事西風悲畫扇 不問蒼生問鬼神 免卻平生求名意 江山無盡自逍遙 明月此時應共照 清風徐來入我懷 高士多情堪寄意 心空若水任東西 (A few characters in the middle are worn and faint, so the reading is best-effort.) 🌿 Approximate English Meaning This is a poetic inscription in a classical Chinese style. It reflects themes of nature, philosophy, and freedom from worldly concerns. Why mourn the painted fan in the autumn wind? Ask not the spirits or fate, nor seek earthly fame. Free yourself from the pursuit of name and status— The rivers and mountains are endless, wander freely. At this moment, the bright moon shines upon us all; A gentle breeze arrives and enters my heart. The noble ones are sentimental and worthy of trust, A mind like still water flows east and west without worry. 🖌️ Style Notes Classical Chinese (文言文) Tone resembles Tang–Song poetry Themes: nature, detachment, calm heart, Daoist influence Likely decorative inscription rather than a famous poem Often found on art plates, scrolls, and lacquerware to express elegance and tranquility ✅ What This Plate Represents This is not everyday Chinese—it’s refined, philosophical, and poetic. The plate is likely a decorative art piece inspired by traditional culture, celebrating inner peace and harmony with nature. Would you like? A more polished literary translation Pinyin reading for pronunciation Historical poetry with similar meaning Help finding the origin or artist Just tell me!
Subscribe to RSS Feed Follow me on Twitter!